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 번아웃과 삶의 균형_개미와 배짱이 며칠전 엄마가 일어나다 주저 앉으며 응급실을 가고 이후 여러 검사를 거쳐서 입원... 오랜 기다림 끝에 다시 검사와 의사 얼굴은 잠시 보고... 치료를 받으며 입원중이다.이런 일이 처음이라 언니와 내가 번갈아가면서 간병을 하다 간병인을 고용하였다. 일주일도 안되는 시간이었는데 밀린 일들이 쌓여 있고 언니가 간병을 하는 동안 남들은 휴가, 피서를 말하는 이 시기에 난 그 일들을 하느라 꼼짝도 할 수 없었다. 그러면서 개미와 배짱이가 문뜩 떠올랐다. 2전전의 나는 번아웃을 겪으며 모든 일을 내려놓고 "쉼"을 하고 있었는데 다시 일을 조금씩 시작하는요즘이다. 그런데 잠깐 멈추었다고 다시 이렇게 꼼짝 못하게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일만 하는 개미가 먼저 떠올랐고 그 다음에 배짱이가 떠올랐다. 이번에는 .. 2024. 8. 4.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_포리스터 카터 포리스트 카터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The Education of Little Tree)은 1976년에 출판된 자서전적 소설로, 체로키 부족의 전통과 지혜를 배경으로 한 감동적인 이야기로 포리스트 카터가 어린 시절의 체로키 부족 할아버지와 할머니와의 삶을 회상하며 쓴 작품이다.카터체로키 혈통인 작가는 어린 시절 체로키 부족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함께 살면서 겪은 이야기와 지혜를 들려준다. 주인공 Little Tree는 부모를 잃고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함께 조용한 산속의 집에서 자라면서 체로키 부족의 전통과 지혜를 배우게 된다. 미국 남부의 깊은 산속에서 체로키 부족의 삶과 철학을 경험한 어린 소년의 시각을 통해, 자연과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체로키 부족의 전통책은 체로키 부족의 전통적.. 2024. 7. 24. 가족_존 브래드 쇼 존 브래드 쇼(John Bradshaw)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작가, 그리고 자아 치유와 가족 치료 분야에서의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연구와 작업을 통해 인간의 감정적, 심리적 회복을 돕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기법을 개발했다. 브래드 쇼는 특히 어린 시절의 상처와 그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Inner Child Therapy (내면의 아이 치료): 그는 내면의 어린아이 개념을 소개하여 사람들이 자신의 과거 상처와 감정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개념은 성인들이 어린 시절의 경험이 현재의 감정적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된다.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그의 저서 중 하나인 이 책은 우리나라에 .. 2024. 7. 24.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_니콜 르페라 내 안의 상처 입은 내면아이를 만나 치유하기 내면아이(inner child)란 어린 시절의 경험과 감정을 지닌 존재를 의미한다. 우리가 어린 시절에 겪은 상처, 부정적인 경험, 혹은 긍정적인 경험들이 내면에 깊숙이 남아 있고, 그것들은 성인이 되었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내면아이는 보통 상대적으로 순수하고 취약한 모습으로 상상된다. 어린 시절의 자아는 자아의 초기 형태로서, 자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어린 시절에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겪었거나 부정적인 방식으로 대처했다면, 내면아이는 이런 경험을 반영하여 자아의 왜곡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은 부정적인 메시지나 감정적 방치, 또는 심리적, 육체적 학대 등은 내면아이에게 상처를.. 2024. 7. 23.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