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ondragstart="return false"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감정과 욕구 표현_ 진정성과 소통이 핵심
본문 바로가기
내 곁에 심리학

감정과 욕구 표현_ 진정성과 소통이 핵심

by 또보고 2024. 8. 17.
반응형

많은 책에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라고 한다. 그것이 건강한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면서 많이 이야기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곳은 거의 없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고개를 끄떡여지지만 한편 막연하기도 하다. 

 

이번 글에서는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직장, 가족과의 관계에서, 친구와의 관계에서, 연인 사이에서, 사회적 모임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해를 돕고자 한다. 

 

 

1. 직장에서의 감정표현

상황 : 직장에서 동료가 자신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지나치게 비판하는 상황을 겪었을 때

 

표현 방법

(1) 부정적인 감정 인식하기

"그런 말을 들었을 때, 저는 좀 실망스럽고 기분이 좋지 않았어요.

(2) 상황 설명

"저는 이 프로젝트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음에도 제 의견이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꼈어요."

 

(3) 대안제시

"앞으로는 서로이 의견을 좀 더 열린 마음으로 들으면 좋겠어요. 그렇ㄱ 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이 방법은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상황을 명확히 설명하며, 건설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접근법이다. 이는 직장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2. 가족과의 욕구 표현

상황 : 가족과의 저녁 식사 중, 지나치게 많은 약속이나 일정으로 인해 지친 상태에서 자신만의 시간을 원할 때

 

표현 방법 

(1) 감정 표현 

"요즘 너무 바쁘고 지친 상태라 저녁에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는 게 좋지만, 제 자신만의 시간이 필요해요."

 

(2) 요구 설명

"오늘 저녁에슨 제 방에서 혼자 쉬면서 시간을 보내고 싶어요. 내일은 다 같이 시간을 보내도 좋을 것 같아요."

 

(3) 감정 다독이기

"제가 이렇게 말하는게 가족들에게 상처를 주고 싶지 않다는 걸 알아주셨으면 해요. 저를 이해해 주실 수 있나요?"

 

*이 방법은 자신의 필요를 존중받으면서도 가족의 감정을 고려하는 방식이다. 가족과는 갈등을 줄이고 서로를 이해하며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어쩌면 이런 대화를 하며 지내는 가족도 있을 것이고, 오글거려서 못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위의 표현은 매우 교과서적인 표현이기는 하다. 자신만의 언어로 바꾸어도 좋으나 핵심을 빼먹어서는 안 된다. 

 

3. 친구와의 감정 표현

상황 : 친구가 자꾸 내 말을 끊고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경우

 

표현 방법

(1) 감정 표현 

"너의 이야기를 듣는 건 좋지만, 가끔은 내가 말할 기회를 얻지 못한 것 같아서 조금 답답해."

 

(2) 솔직하게 요구

"우리 대화를 조금 더 균형 있게 나누면 좋겠어. 나도 네게 이야기 하고 싶은 것들이 있어."

 

(3) 관계 강화

"우리가 서로의 이야기에 더 귀 기울이면, 우리 우정이 더 깊어질 것 같아."

 

* 이 접근법은 친구와의 관계에서 불만을 건강하게 표현하면서 관계를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도 개선의 여지를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렇게 말을 했음에도 개선이 안된다면 그 친구와는 거리를 두는 것도 방법이다. 때로는 인간관계에서ㅇ즘  정리도 필요하다. 그러면 또 다른 사람이 그 자리에 들어온다. 

 

4. 연인과의 욕구 표현

상황 : 연인이 지나치게 바바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어지고 있을 때

 

표현 방법 

(1) 감정표현

"요즘 네가 너무 바빠서 많이 못봐서 아쉬워. 함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서 외롭기도 해."

 

(2) 욕구 전달 

"우리가 주말이라도 시간을 정해서 함께 보내면 좋겠어. 나는 너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

 

(3) 긍정적인 마무리

"이렇게 얘기하는게 우리가 더 가까워지고 서로 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 여기서는 자신의 욕구를 명확히 표현하면서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도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연인 사이의 이해를 높이고, 갈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5. 사회적 모임에서의 감정 표현

상황 : 모임에서 자신이 불편함을 느끼는 주제나 상황이 지속될 때

 

표현방법

(1) 감정 표현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게 저는 조금 불편해요."

 

(2) 예의 바르게 요구 

"혹시 다른 주제로 이야기를 바꿀 수 있을까요? 좀 더 편하게 즐기고 싶어서요."

 

(3) 긍정적인 대화로 전환

"이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면 우리 모두 더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자신이 대화 주제를 제시할 수 있다. 

 

* 이 방식은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불편함을 명확히 표현하면서도 대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모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감정을 존중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마무리

감정과 욕구를 억누르지 않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은 중요하다. 위의 예시들에서 알 수 있듯이 감정을 표현할 때는 상대방을 존중하며, 자신의 욕구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끌어 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이 글이 어떤 상황이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때로는 처음에 말문을 여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용기를 내서 시도하기를 응원한다. 

반응형